WIL

230618_WIL_객체지향프로그램이란? + JVM?

JAVABOZA 2023. 6. 18. 22:00

 JVM? 객체지향 프로그램? 이름은 많이 들어봤다. 하지만 누군가 나에게 객체지향프로그램이 뭐야? JVM이라고 알아? 라고 머리속에 정리되어 있지 않고 어렴풋이 본 기억으로 말문이 막힐 것 같았다.

 

그래서 오늘 한번 WIL의 첫주제로 써보려 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램(Object Oriented Programming = OOP )이란?

위키피디아에 기록된 내용으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 중 하나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독립된 단위,
"객체" 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출처: 위키피디아)

객체 / 지향 / 프로그래밍 을 나눠서 생각 해보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객체 ::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  ex) 사람 , 동물, 식물, 건물 , 컴퓨터 등 우리 주변의 모두 객체라고 할 수 있다.

  +

지향 :: 어떠한 것을 목표로 하다 원하다(want)

  +

프로그래밍 ::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

  =

'현실의 대상을 목표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일'

 

추가로 설명을 하자면 

 

★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 시켜서 행위와 상태를 가진 객체를 만들고, 그 객체들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방법

 

 

자 그러면 객체지향의 장점은 무엇일까? 왜 사용하는지 궁금해졌다.

 

 

 

장점

1. 코드 재상용이 쉽다.

2. 유지보수가 쉽다.

3.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한 프로그래밍이다.

 

단점

1. 처리 속도가 다른언어보다 상대적으로 느리다...

2. 객체가 많아지면 용량이 커질 수 있다.....

3. 설계시 많은 시간이 든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는 법.. 아마 추후에 계속해서 발전되고 있는 객체지향프로그램들은 더 단점을 보완해서 나올 것이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대표하는 키워드 들이 있다.

일번. 객체

이번. 추상화

삼번. 캡슐화

사번. 상속

오번. 다형성

 

●객체(인스턴스)를 설명하려면 세트인 클래스부터 해야한다.

객체지향에서 클래스는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만들어야한다. 그 작업에서 추상화를 거쳐 작업에 필요한 정보 즉, 속성 행위, 변수, 메서드 등을 정리한 정보이다.

인스턴스(객체)는 그 클래스에서 정의한 것을 토대로 실제 메모리에 할당된 것으로 실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두번째는 추상화

정말 많이 들어본 단어이다. 자바를 공부하는 개발자 준비생이라면 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어느 정도 공부한 사람들이라면 추상화 라면 extends 상속 추상클래스 추상 메서드를 생각이 들것인데 맞는 말이다.

다. 객체들의 공통적인 특징, 즉 기능 속성등을 추출해서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존재하는 객체들을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만든 공통적인 특징이 있을 것이다. 그 특징을 파악한 후

필요없는 특성을 제거해 '하나의 묶음'으로 만드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객체 지향언어의 관점에서는 '클래스 정의' 하는 것을 추상화라 한다.

 

●세번째는 캡슐화

관련 있는 것들을 쉽게 캡슐처럼 모으는 것.

그리고 그것들을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캡슐처럼 만드는 것

캡슐화를 위의 개념에 대입하면 코드를 재수정 없이 재활용이 용이할 것이다. 

캡슐화를 정리해보면 기능과 특성의 모음을 클래스라는 캡슐에 분류해서 넣는 것!!

 

●네번째는 상속

상위(부모)클래스의 속성과 행위를  하위(자식)클래스에 물려주거나 하위(자식)클래스가 상위(부모)클래스가 상위(부모)클래스의 속성과 행위를 물려 받는 것이다.

쉽게 말해 부모꺼를 받아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자식 입맛에 수정(재정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장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장점에는 

- 재사용으로 인한 코드가 줄어든다.

- 범용적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 자요와 메서드이 자유로운 사용 및 기능 추가가 가능하다.

 

단점에는

- 상위(부모)클래스의 수정이 어렵다.

- 불필요한 클래스가 늘어날 수 있다.

- 상속이 잘못 사용될 수도 있다....

 

●다섯번째는 다형성

하나의 변수명, 메서드명이 상황에 따라서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라이딩 / 오버로딩이 나온다.

 

오버라이딩 :: 상위(부모)클래스의 메서드와 같은 이름,매개변수를 재정의

오버로딩:: 같은 이름의 함수를 여러개 정의하고, ex) println  매개변수의 타입과 개수를 다르게 해서

매개변수에 따라 다르게 호출할 수 있게 하는 것

 


JVM (= Java Virtual Machine)

Java Virtual Machine = '자바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기계'

 

자바로 작성된 앱들은 모두 이 가상기계 JVM 에서만 실행된다.

 

JAVA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에 맞는 실행파일로 컴파일 되는 것이 아니라 .class 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변환이 된다. 변환된 .class파일은 JVM위에서 작동이 된다.

 

JVM은 OS에 종속받지 않고 JAVS ByteCode(.class) 파일를 0S에 특화된 코드로 변환하여 실행!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프론트엔드와 첫 협업  (0) 2023.07.24
+4 WIL ORM / SQL / MVC  (0) 2023.07.10
WIL 3주차  (0) 2023.07.02
WIL HTTP 와 MVC패턴이란?  (0) 2023.06.25